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14) : 창원도정(昌原道政) 시대의 개막
경남도청의 이전에 따른 진주와 마산, 함안 등 3개 도시가 도청유치경쟁을 시작한 것은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1963년부터이다. 그러다 1974년 창원기계공업단지가 조성되고 그 배후로 창원시가 탄생하면서 도청 후보지는 4개 도시로 늘어났고 유치작전은 더욱 치열해 졌다. 경남도청의 이전은 350만 도민의 숙원이자 정부가 해결해야 할 현안중의 하나였다. 도청이 부산에 소재하면서 행정상의 문제도 많았지만, 도민과 공무원들의 불편도 상당히 많았다. 우선 행정의 구심력이 약화됐고, 도단위 유관기관이 분산돼 있어 도민의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엄청났다. 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부산에 소재하는 경남도청으로 업무를 보러 가는 공무원이 연간 4만2천명이 넘고 도민도 7만 5천명에 달 했다. 또 도단위 행사가 연간 마산에서 44회, 진주에서 7회로 개최되면서 공무원들의 근무환경도 상당히 열악했다. 정부는 이 같은 불편을 없애고 부산의 초과밀화 현상을 막기 위해 결국 도청을 창원시로 옮기기로 결정을 내리게 된다. 진주의 경우, 연고권을 내세우며 도청유치를 강력하게 희망했지만 진주의 지정학적 위치상의 불리함에 도시규모가 20만을 최대수용능력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도민의 70%가 중동부 지역에 살고 있어 도청이 진주로 갈 경우 새로운 불편이 생기고 청사가 들어설 부지도 적당하지 않는 등 도시여건상 단점이 많았다. 결국 진주는 행정도시 보다는 문화, 예술, 교육도시로 전통을 살려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경남도청은 창원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경남도청의 창원 이전은 경남도정 100년사에 새로운 시대를 여는 분기점이 되었다. 1970년대의 경제개발과 산업화를 거치며 새로운 도약의 역사를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더불어 창원은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책과 함께 대표적인 현대적 계획도시로 출발했다. 기계공업단지 조성과 인근 마산의 수출자유지역, 구마고속도로와 부마고속도로의 개통 등 제반여건이 마련되면서 창원으로의 도청 이전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이다. 도청 청사는 창원시 사림동 1번지 6만 6천여 평의 부지에 공사비 217억이 투입되었고, 2년 5개월 만에 초현대식 건물로 건립되었다. 그리고 1983년 7월 1일 대망의 창원 도정시대가 개막되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44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13) : 진주와 마산의 도청 유치 경쟁의 전개
부산의 직할시 승격과 경남 분리는 경남도청의 이전을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진주는 1925년 4월 1일 진주시민들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도망치듯 부산으로 이전한 경남도청의 진주환원을 당연하게 여겼다. 진주에서는 1963년 1월 11일, 도청환원운동의 불씨를 당기게 되는 ‘서남지구개발간담회’가 경남일보 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 간담회를 계기로 경남, 전남, 전북 4개시 17개 시·군의 대표가 참석하는 ‘서남지구개발추진위원회’가 발족한다. 이들은 ‘지리산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경남도청이 진주로 와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1964년 9월 4일 경남도청의 진주환원을 위한 전문기구인 「경남도청 진주환원추진위원회」 발기를 의결했다.드디어 1963년 9월 26일, 진주 시공관에서 도청환원추진위원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이때 도청환원 표어 공모 당선작 발표도 있었다. 당시 일반부 1등을 차지한 표어는 ‘일제 위해 옮긴 도청, 민족 위해 진주환원’이었다. 도청 유치를 놓고 진주와 마산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던 중 서로 감정이 격화돼 마산시민들이 당시 진주 출신 국회의원인 구태회씨 회사 제품 불매운동을 벌이는 해프닝까지 일어났다. 진주에서는 이에 대항해 ‘마산 술먹지 말기’운동을 벌였는데, 당시 진주의 일간지인 경남일보는 1965년 11월 27일 사회면 머릿기사로 그때 일을 상세히 전했다. ‘마산 술 먹지 말자’라는 제목의 글은 당시 도청 유치를 놓고 마산과 진주가 얼마나 치열하게 대립했는가를 엿볼 수 있는 일화이다. 도청 유치를 놓고 역사상 가장 치열한 경합을 벌였던 진주와 마산은 어느 쪽도 도청 유치에 성공하지 못 했다. 당시 신흥공업도시로 부상하고 있던 창원으로 경남도청 이전이 결정되고 만 것이다. 결국 경남도청은 1983년 7월 1일 부산에서 창원시 사림동으로 이전했다. 경남도청이 부산에 소재한 1925년부터 1983년까지 58년간의 부산도정시대는 일제강점기와 8·15 광복, 6·25전쟁, 4·19민주화운동, 제3·4공화국을 거치며 한국 근대사에 있어 수난과 격동의 세월을 뒤로 하고 창원도정시대에 자리를 내어 주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58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12) : 한국전쟁과 경남도정, 부산이 경남에서 분리되다
해방 이후 남북분단에 이은 사회적 갈등 속에서도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강대국의 이해관계와 민족의 내부 이념대립이 빚어낸 엄청난 재앙이자 민족적 비극인 6·25 전쟁이 발발했다.전쟁 발발 두 달여 만에 영남을 제외한 전 지역을 장악한 북한군의 위력 앞에 대한민국 정부는 임시 수도를 부산으로 정했다. 경남도청이 있던 부산은 2년 10개월간 임시수도로 기능했다. 경남도청 본관은 정부청사로, 상무관은 국회의사당으로, 도지사 공관은 이승만 대통령의 관저로 사용되었다. 더불어 부산은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피난민의 임시거처이자, 병참기지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한국전쟁을 거친 부산은 해방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급격한 인구증가와 비약적인 도시발전을 가져왔다. 부산의 인구도 1925년 10만 명, 해방 당시 28만 명이었다가 1962년 127만 명으로 급증하게 된다. 그리고 부산은 항만과 도시개발을 통해 국제무역항으로 성장한 것은 물론 상권의 확대 및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부산은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3호에 의거, 정부 직할시로 승격되어 경남에서 분리되었다. 이와 함께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남 동래군의 구포읍·사상·북면 및 양산군의 기장읍 송정리 등도 부산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경찰국, 교육위원회 등을 비롯한 각종 관계기관의 업무도 분리되었다. 304만 명이던 경남의 인구는 177만 명으로 감소했고, 20년 6개월간 도청이 관할구역이 아닌 부산에 소재하게 됨으로써 도정을 운영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남에서 분리되자, 도청 이전문제가 경남도민 전체의 뜨거운 관심사로 부상했다. 특히 진주와 마산의 도청 유치 경쟁은 어느 도시보다 뜨거웠다. 진주는 부산으로 이전하기전의 도청소재지였음을 내세워 원래대로 ‘도청환원’을 주장했고, 마산은 지역적 적합성과 항구도시로서의 경제적 이점을 내세워 ‘도청유치’를 주장했다. 이렇게 진주와 마산의 사활을 내건 도청 유치경쟁은 날로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68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11) : 역대 경남도정을 책임진 사람들
1896년 지방행정제도 개편으로 진주에 도청소재지인 관찰부를 둔 이래, 1910년 일제강점기에는 도청(道廳)으로 개명되었고, 최고 책임자였던 관찰사(觀察使) 역시 도장관(道長官), 도지사(道知事)로 바뀌게 되었다.다음은 역대 경남도정을 책임진 사람들의 명단이다.조선후기(朝鮮後期)● 경상남도관찰사이항의(李恒儀) 1896. 08. 05.~1897. 05. 25.(9개월)조시영(曺始永) 1897. 05. 25.~1899. 08. 22.(2년 3개월)대한제국(大韓帝國)● 경상남도관찰사이근용(李根鎔) 1899. 08. 24.~1900. 07. 23. (11개월) 박용대(朴容大) 1900. 07. 23.~임하지 않음 김영덕(金永悳) 1900. 07. 25.~1901. 10. 20. (1년 3개월) 이재현(李載現) 1901. 10. 20.~1903. 08. 21. (1년 10개월) 이윤용(李允用) 1903. 08. 21.~1903. 10. 02. (2개월) 민형식(閔衡植) 1903. 10. 02.~1904. 03. 17. (5개월) 김학수(金學洙) 1904. 03. 17.~1904. 05. 15. (2개월) 성기운(成岐運) 1904. 05. 15.~1905. 04. 04. (11개월) 민영선(閔泳琁) 1905. 04. 05.~1906. 01. 17. (9개월) 조민희(趙民熙) 1906. 01. 18.~1907. 06. 28. (1년 6개월) 김사묵(金思默) 1907. 06. 28.~1908. 06. 11. (1년) 이규식(李圭植) 1908~임하지 않음 김재풍(金在豊) 1908. 06. 06.~임하지 않음 황 철(黃 鐵) 1908. 6. 11.~1909. 10. 23. (1년 4개월)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경상남도장관● 경상남도지사카가와 아키라 외 15명 1910. 10. 1~1945. 8. 15. (36년간)미군정기(美軍政期)● 경상남도지사(초대) 해리스준장 1945. 9. 20~1946. 3. (6개월) 김병규(공동) 1946. 1. 23~1946. 12. 20. (11개월) 질레트대령 1946. 3~ (확인안됨) 김철수 1947. 7~1948. 10. 17. (1년 9개월)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64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10) : 일제 치하의 부산도정과 정부 수립기의 경남도정
조선총독부는 1925년 4월 1일 부령 제76호에 의거, 도청의 부산 이전을 강행했다. 경남도청 청사는 부산 부민동 2가 1번지에 신축 중이던 부산 부립 자혜병원 건물을 용도 변경해 사용했다. 이로써 진주도정 28년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부산도정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부산도정은 1925년 4월부터 창원도정이 시작되는 1983년 7월까지 58년간 지속되었다.경남도청의 부산 이전은 일제의 조선침략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부산은 일제강점 이전부터 일제의 조선침략의 교두보이자 대륙침략의 전진기지로 주목받던 핵심지역이었다. 1876년 개항과 함께 일본의 단독조계(單獨租界)와 영사관을 비롯해 각종 근대적 기구와 시설이 설치되었다. 더불어 부산은 1910년 일제강점 이후 일본과 가까운 지리적 조건으로 일본인의 유입이 급증하는 가운데 도시화 또한 한층 가속화되었다. 당시 부산은 시내 교통수단으로 1910년 궤도열차의 운행에 이어 1915년에는 전차도 운행되었다. 1925년 부산부 인구는 10만 3,500명으로 급증했으며 경남의 인구는 202만 1천여 명이었다. 부산도정시대의 일제 식민통치는 더욱 가혹해졌다. 하지만 한민족은 일제의 폭압에 맞서 끝내 굴하지 않았고, 지속적인 항일독립운동과 일제의 태평양전쟁 패배로 인한 무조건 항복으로 1945년 8월 15일, 민족의 염원인 해방을 맞이했다. 대한민국은 정부수립 이전 3년 동안 미군정하에 있었고, 경남은 1945년 9월 경남지역 주둔군 사령관인 해리스 준장이 군정지사로 취임하여 도정을 총괄했다. 미군정은 지방행정의 원활한 수행과 민심수습을 위해 4개월 후 각 도의 도지사를 한국인으로 교체했다. 이에 따라 해방 이후 첫 도지사로 1946년 1월 김병규 지사가 취임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한 뒤 경남도 새로운 경남도정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51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9) : 언론에 보도된 도청 부산 이전 반대 운동 2
경남도청의 부산 이전이 결정되자, 진주민들은 격렬한 도청이전 반대운동을 주도했다. 당시 동아일보를 비롯한 주요 언론들은 도청이전반대운동과 관련한 소식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동아일보 1924년 12월 9일 자 신문에 ‘경남도청이전 반대운동 맹렬’ 제하의 기사가 보도되었다. 신문에서는 번영회와 신문기자단 주최로 시민대회를 열고 최후수단을 강구하는 한편, 반대운동이 맹렬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동아일보 1924년 12월 12일 자 신문에서는 경남도청이전문제로 ‘전장화(戰場化)된 진주 일대의 살기(殺氣)’ 제하의 보도를 하면서 ‘분노에 분노를 더한 삼백여 명의 시민들이 붉은 기와 붉은 등을 가지고 도청을 습격코저 했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기사내용을 보면 ‘도청이전문제로 흥분한 진주시민은 9일 오후에 적심단(赤心團)을 조직하여 결사적으로 반대운동을 시작했고 일반의 분노가 극에 달한 9일 밤에는 300여 명의 군중들이 붉은 기와 붉은 등을 들고 도청과 도지사 관사에 쇄도했다. 11일에는 오후 3시부터 진주시민이 총출동하여 시민대회를 열고 일대운동을 일으켰다.’당시 진주의 반대운동 대회의 위원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동아일보 1924년 12월 12일)조선인 측 대표는 ▲김갑순(金甲淳) ▲강주한(姜周漢) ▲정태범(鄭台範) ▲변덕환(邊悳煥) ▲강윤영(姜潤永)이었고 일본인 측 대표는 ▲고교무부(高橋武夫) ▲상원삼사랑(上原三四郞) ▲청수좌태랑(淸水佐太郞) ▲염고장시랑(鹽尻庄市郞) ▲원정정조(原田定助) ▲판본성의(阪本誠二) 등이었다. 총독부가 발표한 도청의 부산 이전 이유에 대해 진주민은 다음과 같은 반대 이유를 제시했다.도청을 부산으로 옮기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소위 총독부 당국의 이유를 보면, 부산이 조선의 유일한 관문일뿐 아니라 교통의 중심이며 따라서 산업, 교육, 문화 등의 중심지임으로 도(道)의 행정을 총괄할 수 있는 부산으로 옮겨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의 관문이라고 해서 반드시 한 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도를 두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교통의 중심 역시 진주인데 머지않아 개통될 마산-진주간 철도가 개통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만일 도 (道)를 한 쪽에 치우친 부산으로 옮길 경우 거창 같은 곳은 실로 600여리의 먼 거리가 되어 주민의 이해관계에 상상 이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진주는 역사가 오래 된 곳이며 교육, 문화의 중심지로 일개 어촌에서 발전된 부산에 비교할 바가 아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63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8) : 진주대관에 나타난 도청 부산 이전 반대 운동 1
조선총독부가 1925년 4월 1일 부령 제76호에 의거, 기습적으로 도청의 부산 이전을 강행하자, 진주시민들은 즉각 극렬한 반대운동을 전개했다.일제강점기 당시 진주의 갖가지 기록을 정리한 진주대관(晋州大觀)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1924년 12월 7일, 도청의 부산 이전 소식이 알려 지자, 내선유지 평의회가 진주금융조합에서 개최되었다. 일본인 석정고효(石井高曉)가 좌장이 되어 대응방침을 의논한 결과 종래의 사활문제인 도 청이전반대운동을 계속할 것을 결의, 시민대회를 열고 위원을 총독부에 보내기로 결의했다. 12월 8일 아침, 진주좌(진주극장 전신) 앞에 모인 수많은 진주시민들은 깃발을 세우고 징을 울리며 위세를 떨쳤고, 진주좌에서는 제1회 진주시민대회를 개최하여 반대운동의 부서를 정하고 진정위원 12명을 선출하여 그 다음날인 12월 9일 총독부에 파견했으나 소득없이 돌아왔다. 이에 진주시민들의 격분이 극에 달해 밤낮없이 회합을 열고 비분강개한 나머지 낮에는 도청에 가서 항의를 하고 밤에는 전기회사를 습격하여 소등을 한 뒤 도지사 관저를 습격하는 등 시위운동이 계속해서 벌어졌다. 진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시위가 벌어지는 동안 도청이전반대동맹회에서는 실행위원장에 상원삼사랑(上 原三四郞)을 추대하고, 유력자, 유지를 망라하여 고문과 실행위원으로 선출했다. 그리고 마산을 비롯해 1부 12군을 방문해, 반대운동 참가 또는 동정을 구하는 등 반대운동의 확산에 노력하여 군민대회에서 도민대회를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진주민의 반대가 격렬해지자 총독부는 신문기사를 통제하는 한편 이간책을 쓰다가 12월 하순에 이르러서는 도민대회에 참가한 마산의 송본다장(松本多藏)을 과격한 연설을 이유로 검속하고, 12월 31일에는 방지회 간사 승전이조(勝田伊助), 강주한(姜周漢), 백야성이(柏野誠二) 등 3명을 체포, 도경찰부로 송치 하는가 하면 방지회 본부를 압수수색해 내각총리대신 명의의 진정서 원고 등을 압수했다. 경남도청의 부산 이전 발표 이후 격렬해졌던 진주민들의 반대운동은 1925년 새해를 맞으면서 총독부의 강력한 집회 해산 조치와 언론 통제 등으로 잠시 주춤해졌다. 이에 도청 부산이전 반대운동을 주도했던 일본인 석정고효(石井高曉)는 1925년 10월 14일 도청이전반대운동에 대한 봉고문 낭독을 끝내고 권총으로 자살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60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7) : 조선총독부가 발표한 '경남도청의 부산 이전 이유'
조선총독부가 발표한 도청의 부산 이전에 즈음한 발표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도청이전문제는 총독정치 개시 이래의 현안으로서 여러차례 문제가 되었으나 지방의 이익에 영향되는 바 다대(多大)함으로 신중고려(愼重考慮)할 필요가 있어서 금일(今日)에 급(及)한 것인데 진주는 도(道)의 서방(西方)에 편재(偏在)하여 전도(全道) 경제, 문화의 중심을 떠났고 교통 또한 불편하여 시정상 (施政上) 많은 불편과 불리(不利)가 있다. 각반(各般)의 정무가 간단한 시대에는 지방의 이익을 위하여 주저하였으나 현시와 같이 정무다단(政務多端)한 시대에 이르러서는 도저히 현황대로 추이할 수 없어 이번에 총독·총감의 영단(英斷)에 의하여 다년의 현안을 해결한 것이다. 이전 결과 행정의 중심은 도내 경제, 교통, 교육, 문화의 중심과 합치하여 도 전체의 활동은 민활하게 되고 도민 대다수의 편익을 얻음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지 부근 수군(數郡)은 이에 의해 다소 불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진주읍내는 삼십년간 도청 소재지였던 관계상 타격이 심할 것이나 도청 이외 의 관가, 재판소, 경찰서, 자혜병원을 위시하여 대부분 기관은 종래와 같이 소재할 것이오, 도 지방비의 시설 즉 군청, 사범학교, 농학교, 종묘장과 같은 것도 가급적 진주에 존치할 방침일뿐 아니라 명년도(明 年度)에는 철도의 개통을 볼 터이니 진주의 번영은 상당히 유지할 수 있으나 지방민의 활약에 의하여 지방의 경제, 교통의 중심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총독부가 1924년이 저물어가는 시기에 경남도청의 부산 이전을 발표한 것은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총독부는 1924년 초 도립자혜병원을 세운다고 대내외에 위장발표를 해 놓은 뒤 실은 도청 청사로 사용할 건물을 신축하고 있었던 것이며, 그것이 1925년 봄 완공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더불어 도청의 부산 이전 결정과 관련 해 경남지사가 진주 유지들에게 그 사실을 통고하고 있을 즈음에, 부산 부윤은 임시 부협의회(府協議會)를 소집, 개최하고 부유재산 토지(府有財産土地)를 기부하기로 결정하는 한편 신축 중인 도립 자혜병원 건물을 부산 도청의 임시청사로 사용할 것을 결의한다. 조선총독부는 1925년 4월 1일 부령 제76호에 의거, 도청의 부산 이전을 강행했다. 이로써 진주도정 28년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부산 도정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부산도정은 창원도정이 시작되는 1983년 6월까지 58년간 지속되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56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6) : 조선총독부의 '도청 부산 이전'의 전모 3
도청 부산 이전에 대한 의구심은 총독부의 지방비 예산의 미집행과 관련해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1923년도 지방비 예산에 계상되어 있고 또 신축부지까지 결정해 놓은 진주사범학교(晋州師範學校)와 금융 조합연합회 도지부(金融組合聯合會 道支部) 건물이 회계연도가 1년이 넘었는데도 아무런 이유없이 기공(起工)도 하지 않고 시일(時日)만 지연하는 일이 계속되었다.이에 대해 진주는 ‘진주사범과 동일한 예산에 계상된 부산제이상업학교(釜山第二商業學校)와 부산수산학교(釜山水産學校) 및 밀양농잠학교(密陽農蠶學校)는 이미 완공하여 개교까지 하지 않았는가. 이것은 분명 도청 이전을 위해 그때까지 미루고 있는 것이다’라는 의구심을 제기한 것이다.시민대회를 열자는 논의가 생겼고, 1924년 7월 26일 아침 8시부터 진주청년회관에서 개최된 시민대회에서는 도청이전반대 진정위원 6명을 상경시키기로 하고 각 동리별(洞里別)로 농악대(農樂隊)를 앞세워 수천 명이 가두시위까지 벌였다. 8월 7일, 정태범(鄭台範), 강주한(姜周漢) 등 6명의 진정위원이 상경하여 정무총독을 만난 자리에서 ‘도청이전문제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상부에서는 이전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내무국장 역시 이전에 반대한다’는 답변을 듣게 된다.이에 신문들은 일제히 「진주문제 일단락, 도청이전설은 총독부도 반대」라는 제하의 기사를 쏟아냈으나, 이 역시 일제의 어처구니없는 기만정책에 불과했다. 도청이전반대 진정위원들의 총독부 방문 이후 4개월이 지난 1924년 12월 6일 밤 12시 총독부는 당시 경남지사였던 화전(和田)과 부산부윤(釜山府尹)인 소서(小西)에게 다음과 같은 연락을 취한다. 「도청의 이전이 결정되었으며, 8일 날짜 관보로 발표한다. 민심 수습에 만전을 기하라」 당시 경남지사는 7일 오후 1시에 진주의 유지들과 신문기자를 초청해 이 사실을 통고하고 시민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수습해줄 것을 당부한다. 총독부 또한 7일 낮 출입기자를 불러 도청 이전 이유를 설명하면서 협조를 당부하고, 1924년 12월 8일 자 조선총독부령 제76호로 1913년 12월 29일 자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중 「경상남도 위치 진주」를 「경상남도 위치 부산」으로 개정하고 1925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렇게 경남도청은 부산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41
Archive of 진주 경남도청의 과거와 현재 (5) : 조선총독부의 '도청 부산 이전'의 전모 2
경남(慶南)과 충남(忠南), 평북도청(平北道廳)을 경부(京釜)·경의선(京義線) 철도(鐵道)의 요충지로 옮기겠다는 총독부의 판단은 3·1운동을 거치는 과정에서 굳어졌다. 보다 효율적인 식민통치를 수행하기 위해 행정권력 운용의 기동성이 필요했고, 보다 강한 주민통제(住民統制)의 필요성 때문이었다.경남도청(慶南道廳) 부산이전설(釜山移轉說)이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도된 것은 조선일보(朝鮮日報)와 동아일보(東亞日報) 등의 신문이 발간된 직후인 1920년 4월 8일이었다. 동아일보 4월 8일 자 보도에서 ‘도청 소재지로 가장 불편한 지점에 있는 경상남도청의 이전은 오래된 현안이었는데 총독부에서 최근 이전을 결정했고, 이전지는 부산 남해안 대정공원(大正公園, 부산시 중구 충무초등학교) 부근이 될 듯하다.’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총독부는 ‘1920년도 예산에 계상되어 있지 않아 이전은 불가능하며 도청을 신축해야 하나 그 후보지로 진주(晋州)·마산(馬山)·부산(釜山)의 3개 지역을 두고 고려하고 있는 상태이며 반드시 부산으로 간다는 것은 아니다’라는 다분히 의도적인 발언을 흘려 신문 기사화하기도 했다.이에 당황한 진주에서는 4월 10일 반대시민대회(反對市民大會)를 개최했고, 일부에서는 철시시위(撤市 示威)까지 벌였다. 시민대회 결정에 따라 일본인 변호사 사무실에 「진주도청이전방지동맹회(晋州道廳 移轉防止同盟會)」라는 간판을 걸고, 진주 인근의 사천, 산청, 합천, 거창, 하동, 남해, 의령, 함양, 고성, 통영, 함안 등 각 군(郡)에 대표를 보내 반대청원 서명운동을 전개해 1만여 명의 서명을 받아 총독부와 동경의 중앙정부에 송부하기도 했다.5월 16일 제5회 시민대회에서는 3,000여 명의 시민이 모인 가운데 격렬한 이전 반대 성토연설이 계속되었고, 이전방지동맹회가 선정한 8명의 진정위원은 5월 23일 총독부를 항의 방문했다.이에 총독부에서는 소란을 감수하면서까지 이전을 강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 때문인지 “도청이전 의사가 없다”고 말하면서 진정위원을 돌려보냈다. 1923년 진주에서는 백정해방운동인 형평운동이 일어난 데 이어, 1924년 부산에서 약 1만여 명에 달하는 노동자에 대한 일본 입국제한 조치가 시행되면서 사회혼란이 극에 달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도청 이전문제는 거의 잊혀져 갔지만, 1924년 중반쯤에 이르러 진주시민들은 총독부의 수상한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 2024-03-06
-
작성자
진주평론
-
조회수
148